학술지 대상 데이터 공유/데이터 논문 정책 및 인식조사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조사는 데이터 공유와 데이터 논문 발행에 대한 국내 학술지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편집위원회의 대표의견으로 학술지의 현재 정책 또는 정책방향을 밝혀주시면 됩니다.

본 조사를 통해 응답해주시는 내용은 통계처리되며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이 조사에서 수집되는 개인정보는 모두 개인식별을 할 수 없도록 처리됩니다. 설문조사 과정에서 수집되는 귀하의 연락처는 조사에 응해주신 것에 대한 소정의 커피쿠폰을 지급하는 용도에 한합니다. 지급 후 연락처는 즉시 파기됨을 알려드립니다.

설문 작성 시간은 대략 10-12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귀 학술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연구출판 관련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설문에 앞서 용어정의를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용어정의*****
데이터 공유(data sharing): 연구 과정에서 활용한 연구 데이터를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고 이 데이터가 재이용되도록 제공하는 것으로 대개 논문에 Data Availability 항목을 넣어서 발행함
데이터 논문(data paper): 데이터의 분석 결과나 해석은 포함하지 않고 데이터의 생산 및 수집 배경과 수집·처리·분석 방법 등 데이터에 대한 사실만을 다루는 논문 유형
데이터 논문(data paper)의 예시: 
주관: 한국과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KCS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조사기간: 2023년 5월 16일-6월 16일(연장됨)
 
1.귀하의 학술지가 속한 주요 연구분야는 무엇입니까?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대분류 기준)(복수선택가능)(필수)
2.귀하의 학술지에서 역할은 무엇입니까? (편집위원장이 해당 학술지를 대표하여 응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다른 분께서 편집위원장을 대리하여 응답하시는 경우 역할을 기재해주시기 바랍니다.)(필수)
3.귀하의 최종 학위를 표시해 주십시오.(필수)
4.귀하의 최종 학위 후 관련 분야 연구경력은 어느 정도입니까?(필수)
5.귀하의 편집 관련 업무기간은 어느 정도입니까?(필수)
6.귀하의 학술지 원문이 어떤 언어로 발행됩니까?(필수)
7.귀하의 학술지는 오픈액세스 학술지입니까?(필수)
8.귀하의 학술지는 논문 출판비용을 어떤 재원으로 마련하십니까?(필수)
9.귀하의 학술지에 데이터 공유(data sharing)에 대한 정책이 투고규정에 포함돼 있습니까?

데이터 공유(data sharing): 연구 논문에서 활용한 연구데이터를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고 이 데이터가 재이용되도록 제공하는 것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JEEHP) 의 데이터 공유 정책 예시:

This journal follows the data sharing policy described in “Data Sharing Statements for Clinical Trials: A Requiremen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중략). All of the authors of research articles that deal with interventional clinical trials must submit data sharing plan of example 1 to 4 in Table 1. Based on the degree of sharing plan, authors should deposit their data after deidentification and report the DOI of the data and the registered site.
(필수)
10.데이터 공유(data sharing)에 대한 정책이 있다면, 어느 정도의 정책입니까?
11.데이터 공유(data sharing)에 대한 정책 시행을 시작한 연도를 기재해주세요(연도를 숫자로만 기술).
12.학술지를 운영하는 데에 데이터 공유(data sharing) 정책의 단점 또는 우려를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필수)
1 매우 그렇지 않다(보기와 같은 단점 또는 우려를 걱정하지 않는다).
3
4
5
6
7 매우 그렇다(보기와 같은 단점 또는 우려를 걱정한다).
1) 데이터를 공개하라고 하면 투고 원고가 감소할 것 같다.
2) 투고자가 data 공개를 원하지 않을 것이다.
3) 데이터를 받아도 기탁 방법을 잘 알지 못한다.
4) 데이터를 받아도 기탁 장소나 플랫폼에 대한 안정성이 염려된다.
5) 데이터 공유 정책을 시행하면 경비가 많이 소요될 것 같아 염려된다.
6) 데이터 공유 정책을 도입한 후 편집인이나 편집 실무자의 업무량이 증가할 것이다.
7) 데이터 공개를 통해 학술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신할 수 없다.
13.위와 같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학술지를 운영하는 데에 데이터 공유(data sharing) 정책이 장점 또는 역할을 통해 다양한 학술분야에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것에 대해 어느 정도로 동의하는지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필수)
1 매우 그렇지 않다(보기와 같은 장점이 없다).
2
3
4
5
6
7 매우 그렇다(보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피어리뷰를 용이하도록 한다.
2) 연구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논문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4) 데이터의 재이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5) 학술지에 대한 인용도를 높일 수 있다.
14.항목 9번에서 “2) 없다” 로 응답하신 경우 답해주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공유(data sharing)정책이 향후 도입할 의향이 있습니까?
15.(위의 14번에서 응답하신 경우에만) 향후 언제쯤 데이터 공유(data sharing) 정책을 도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까?
16.항목 9번에서 “1) 있다” 로 응답한 경우 답해주세요.

데이터 공유(data sharing)를 위해 활용하는 플랫폼은 무엇입니까?
17.(위의 16번에서 응답하신 경우에만)
언급한 플랫폼의 이름을 적어주세요.
18.데이터 논문(data paper)에 대해서 어느 정도로 인식하고 계십니까?


데이터 논문(data paper): 데이터의 분석 결과나 해석은 포함하지 않고 데이터의 생산 및 수집 배경과 수집·처리·분석 방법 등 데이터에 대한 사실만을 다루는 논문 유형
(필수)
19.귀하의 학술지에서 데이터 논문(data paper)를 발행한 적이 있습니까?(필수)
20.위의 19번에서 1) 있다고 답한 경우에만 응답해주세요. 

귀하의 학술지 투고규정 등에서 데이터 논문(data paper)을 논문 유형(article type) 중 하나로 포함하고 있습니까?
21.위의 20번에서 답한 경우에만 응답해주세요. 
귀하의 학술지에 데이터 논문(data paper) 발행을 시작한 연도를 기재해 주세요.
22.데이터 논문(data paper)를 발행할 때의 단점 또는 우려를 어느 정도로 생각하십니까?(필수)
1 매우 그렇지 않다(보기와 같은 단점 또는 우려를 걱정하지 않는다).
2
3
4
5
6
7 매우 그렇다(보기와 같은 단점 또는 우려를 걱정한다).
1) 데이터 논문 게재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든다(데이터 정리, 설명 작성 등)
2)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오용되거나 잘못 해석될 수 있다.
3) 데이터의 저작권 및 라이선스에 대한 우려가 있다.
4) 우리 학문 분야에서 데이터 논문은 일반 연구 논문보다 학술적 가치가 낮다.
5) 우리 학문 분야에서 데이터 논문은 일반 연구 논문에 제시된 데이터에 비해 덜 신뢰한다.
23.데이터 논문(data paper)를 발행할 때의 장점 또는 역할도 있는데, 어느 정도로 동의하는지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필수)
1 매우 그렇지 않다(보기와 같은 장점이 없다).
2
3
4
5
6
7 매우 그렇다(보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데이터 논문 게재를 통해 연구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2) 논문 유형 확대를 통해 저널의 다양성을 증대시킨다.
3) 데이터의 재이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4) 학술지에 대한 인용도를 높일 수 있다.
24.항목 19번에서 “2) 없다”로 응답하신 경우 답해주시기 바랍니다.

귀하의 학술지에서 데이터 논문(data paper)를 발행할 계획이 있습니까?
25.(위의 24번에서 응답한 경우에만)
향후 언제쯤 데이터 논문을 출판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까?
26.항목 19번 “1) 있다” 로 응답한 경우 답해주세요.

데이터 논문(data paper)에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플랫폼은 무엇입니까?
27.(위의 26번에서 응답하신 경우에만)
언급한 플랫폼의 이름을 적어주세요.
28.항목 19번 “1) 있다” 로 응답한 경우에만 응답해주세요.
데이터 논문(data paper)을 투고심사하고 출판하기 위해 활용 중인 시스템은 어떤 것입니까?
29.위 28번에서 언급한 시스템의 이름을 적어주세요.
30.제언: 데이터 공유(data sharing) 또는 데이터 논문(data paper) 출판을 촉진하는 데 필요하다고느끼는 귀하의 생각을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필수)
31.커피쿠폰 발송을 위한 휴대폰 번호를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필수)
32.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인 휴대폰번호는 쿠폰 발송을 위해서만 활용되며, 설문 종료 및 쿠폰 발송 후에 즉시 폐기됩니다.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에 동의하십니까?(필수)